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운로드 URL : http://php.chol.com/~kisuo/bbs/zboard.php?id=data&no=44

=============================
===KC1 Magicⓝ 잠금 README===
=============================
ver01
by
ksp@kt(★の別)
update@20080331

<만든 이유>
암호도 안걸리는 치사하게 만들어진 KC1이 너무 답답해서 만들어봤습니다.
실수로 Magicⓝ 접속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의도된 접속은 가능하게 함.

<기능>
- Magicⓝ 접속시 하단의 Slide를 우측으로 움직이면 실행됩니다.
(허접하지만 윈도우즈 기본 Slide 사용)
- 10초내로 Slide를 하지 않으면 Magicⓝ이 실행되지 않으며, 자동 종료됩니다.
- 그림나라나 문자나라 또는 SMS로 온 주소로 접속시에는 어디로 접속하는지 표시해 줍니다.

<주의 사항>
- 자동 설치의 경우 4차 펌웨어를 기준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그 이외의 펌웨어 사용자분은 수동설치를 해 주세요.
아울러 삭제는 수동삭제만 지원합니다.
(설치는 덮어서 해버리나, 간단히 삭제할 방법을 찾지 못하였습니다 ^^;)
- 설치/제거시는 Magicⓝ 브라우저가 종료 된 상태에서 해 주세요.

<자동 설치 방법 - 4차 펌웨어 전용!>
Magicⓝ Lock.cab 설치 하시면 됩니다.

<수동 설치 방법 - 기타 펌웨어도 가능>
1. Magicn Store\LG Storage\MagicN 폴더에서 _Magicⓝ.exe ==> __Magicⓝ.exe 으로 이름 변경
(맨 앞에 _ 하나 추가 하는 것입니다.)
2. Magicⓝ잠금의 _Magicⓝ.exe 파일을 Magicn Store\LG Storage\MagicN 으로 복사

<제거 방법>
1. Magicn Store\LG Storage\MagicN 폴더에서 _Magicⓝ.exe 삭제
2. Magicn Store\LG Storage\MagicN 폴더에서 __Magicⓝ.exe ==> _Magicⓝ.exe 으로 이름 변경
(맨앞의 _을 하나 제거 하는 것입니다.)


<알려진 문제점>
-원래의 Magicⓝ 실행중에 다시 실행될 경우 다시 잠금해제를 해줘야 함(흔치 않은 경우라 생각합니다.)
-다중실행이 방지되지 않아있습니다.(역시 흔치 않은 경우라고 생각되서 신경을 껏습니다.)
-자동 언인스톨이 불가능합니다.
(파일명 Rename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렇습니다. 현재는 4차 펌웨어의 파일을 재복사 하는 방법으로 설치하거든요.)



=!!! 주의 사항 !!!=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도중에 어떠한 일이 생겨도 모두 사용을 선택하신 분의 책임입니다.
PPC 프로그램은 처음만들어 보는 제작자이니 이점 꼭 참고해주세요.
(위의 설치/제거 방법 보면 딱 티가 나지 않습니까? ^^;)

[기타]
Magicⓝ 은 KT/KTF의 등록 상표입니다.
:



===================
===KC1vod README===
===================
ver02
by ksp@kt(★の別)
update@20071130

Update 내용 :
- 8100vod에서 KC1vod 로 이름 변경
- xor 데이터를 얻기 위한 방법 변경

사용 방법 :
- xor db 를 만들기 위해서,폰에서 seven 이란 컨텐츠를 받으세요.
(그냥 암호 해독을 하기 위해 벨소리를 아주 작게 하나 만든겁니다.)
http://mbox.paran.com/mbox/channel.media.view.do?view=media&ch_no=22655&media_no=69360
(여기에서 폰으로 보낸뒤에, 폰에서 다운로드.)
- 받으신 Seven 파일은 [\Magicn Store\Fimm보관함]에 있습니다.
이것을 PC로 옮기시고, seven.xor로 파일 이름 변환. 다 같은 폴더에 넣습니다.
(즉, 폴더에는 kc1vod.exe, seven.org, seven.xor가 있게 됩니다.)
- 변환할 MP4 파일들을 같은 폴더에 넣습니다.
- kc1vod.exe를 실행합니다. 변환된 .aod 파일들이 생성됩니다.
- 이 aod 파일들을 다시 [\Magicn Store\Fimm보관함]으로 복사합니다.
- 벨소리-리얼뮤직벨을 확인하시면 넣은 파일이 목록에 뜹니다.
- 메인화면에서 아래방향키-Fimm 보관함에도 나타납니다.


그외 나머지는 전버젼과 동일
=============================
2006.09.10

=!!! 주의 사항 !!!=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도중에 어떠한 일이 생겨도 모두 사용자의 책임입니다.

=사용방법=
1.VOD벨 파일들의 확장자를 .mp4로 바꾸어서 같은 폴더에 넣어주세요.
(또는 직접 Nero Burningrom 6.x에 껴오는 Nero Wave Editor로 편집해서 만든 MP4로 저장한 파일도 괜찮습니다.
보통 *.skm *.k3g 등을 받으시던데 이런걸 mp4로 바꾸어 주시란 얘기입니다.)
2.8100vod.exe 파일을 실행합니다.
3.변환이 완료된걸 확인하세요.
4.[*.aod] 파일을 KC8100 의 [\Magicn Store\Fimm보관함] 으로 옮깁니다. 폴더가 없으면 만들어주세요.


=고급옵션=
도스창을 띄워서
\>8100vod *.skm
\>8100vod *.k3g
이런식으로 특정파일만 변환하도록 명령을 내리는것도 가능합니다.
(도스 쓰시는 분만 사용을 부탁드립니다.)

=기타사항=
-현재 한번에 최대 99개만 변환가능합니다.(요즘 Final Fantasy 3 DS 하고있는데 그거 영향받았나봅니다.99개 넘으면 관리도 힘듭니다. 더 필요하시면 나눠서 변환하세요.^^;)
-8메가가 넘는 벨은 에러가 납니다.(혹시나 오류가 날까 싶어서 버퍼 크기 제한해놨습니다.)
-xor.db 파일은 필수입니다.(내장은 가능한데 냅뒀습니다.)
-제 폰의 버젼은 1.01 이었습니다.

=후담=
조만간 GUI가 있는 버젼도 도전해 보겠습니다. :)
편해서 그냥 이거 쓰고 있긴 하지만요.
:

자이로 동영상

Project/etc. 2007. 11. 19. 10:37 |
:

소니 바이오 노트북은 기본적으로 Toshiba Bluetooth Stack을 제공한다.
(최소한 써본 모델로 TX나 SZ 경우...)

그러나 이 도시바 블루투스 스택은 좀 호환성에 문제를 보이는 경우가 많아서,
차선책으로 윈도우즈의 기본 스택을 쓰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windows\inf\bth.inf 를 찾아서 열어서
Alps Bluetooth USB Adapter=                      BthUsb, USB\Vid_044e&Pid_300c
Alps Bluetooth USB Adapter=                      BthUsb, USB\Vid_044e&Pid_300c&Rev_1915

이 2줄을 [ALPS.NT.5.1] 부분을 찾아서 아래쪽에 추가하면 된다.
(노란 박스안에 3줄처럼 보이지만, 화면폭이 짧아서 잘리는것이니 참고.)

단, 일반적으로 소니 노트북의 스택의 내부 USB VID,PID가 위의 노란 네모 안의 것이긴 하나,
아닐 수도 있으니, 장치 관리자를 열어서 ?아이콘이 있는 USB Device 장치나,
이미 도시바 스택을 깔았다면 기존에 쓰던 블루투스 장치의 VID PID를 등록정보-자세히 쪽에서 확인해 보고, 바꿔 줄 필요가 있을 수도 있으니 다르다면 bth.inf에 그 vid,pid로 추가해야한다.

더불어서, 일단은 도시바 스택을 언인스톨 하고 진행해야한다.

언인스톨후 재 부팅을 안한다면, bth.inf을 수정후에 장치관리자에서 동작-새로 고침을 해주면 아마 윈도우즈가 내장 스택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인식을  하고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깔릴 것이다.


사진으로 보자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결정적으로 이렇게 했을때 이상하리 놀라운 결과가 나타났는데,
일단 마우스 움직임이 눈에 띄게 부드러워 졌고,
다른 장치와 동시에 사용할때 마우스의 끊김 현상이 없어졌다.
(더 테스트 해 보아야 겠지만, 일단 도시바 스택에 비해서 확실히 다르다)

단, 단점은 헤드셋/핸즈프리/스테레오(A2DP)를 못 쓴다는거. 이점 유의하시라.

<출처 - http://www.rhythminmind.net/vaiobluetooth.html >
:

[자료 수집중. . .]
필요자료 : 멀티 랭귀지, 추가 액션

http://www.codeproject.com/useritems/AddinCustomAction.asp
:

http://support.microsoft.com/kb/320081

del \\?\c:\delme\delete.file
rd \\?\c:\delme\delete.folder

보통 파일명 끝에 스페이스가 들어간 경우 등이 이런데,
\\?\ 라는 걸 추가함으로써 지울 수 있었다.

이런 커맨드까지 있을줄이야 -ㅇ-


(추가)
unlocker 란 파일로 핸들등을 죽여서 지우는 것을 도와주는 프로그램도 있다.
리부팅의 불편함을 덜 수도 있을것이다.

http://ccollomb.free.fr/unlocker/
:

Options - Doucument Options - Auto Indenting
Smart Indent Options - uncheck brace options
:

사용중이어서 못지우는게 아니라,
파일명 오류 등으로(일본 프로그램 깔면 당하죠 ㄱ-..) 못쓰게 된 파일을 삭제 해 주는 유틸입니다.
탐시끼 에서 못지우는 녀석을 확실히 지워줍니다.

링크 : http://www.purgeie.com/delinv.htm
:


이제 저 남은 부분을 매꾸는 험난한(?) 작업이 남았다... 하악.. 하악.. 한숨부터.

하드 5개의 온도가 55~60도정도 -> 40도 전후로 떨어졌다.
전에 하드가 온도가 저렇게 높은줄 몰랐었다니.. 난감하다.

지금 저 컴터안에 팬 속도 조절기만 4개가 달려(보이든,숨었든)있다..
어쩌다 이지경이 ㅠㅠ..

참고로 3.5 하드를 5.25에 고정한 방법은,
나사 2개를 한쪽에 박아 고정뒤에, 반대쪽은 바닥에 케이스 나사(손으로 풀고 조일수 있는거)를 달은 다음에, 그 케이스 나사에 케이블 타이를 걸어서 반대쪽(떠있는쪽) 벽에 걸었다.
좀 불안하지만(이동 안하는게 좋음) 소음 감소 효과도 약간 있다.
아울러 좌우에 지그재그로 하드를 배치해서 공간을 최대한 확보했다.(서로 열 간섭이 덜하도록)

120미리 팬의 경우 자기부상 팬인가 하는 뭐시기이고,(팬 컨트롤러 포함되어있음 위에 금색 꼭지가 그것.) 마름모로 달은 다음에 케이블 타이로 고정시켰다.

타이의 활용성에 놀라고 있다 -_-

===========

앞이 휑하고 손가락 잘라먹을 수 있다는 위협이 들어서,
문방구로 달려가서 잽싸 사온 망을 달아버렸다.
한 4~50분 씨름한거 같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