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방법====
1.소닉스테이지 영문판을 connect.com 에서 받아서 설치하세요.
2.소닉스테이지를 실행해서 인식이 그냥 되신다면 그냥 쓰시길 권장합니다.
3.NW-HD1(USSonicStage-in-KRwindows_recognition_patch).reg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레지스트리에 입력합니다. 소닉 스테이지가 혹시 실행중이라면 닫았다 다시 실행 합니다.
4.아마 인식 되실껍니다.

====주의=사항====
1.NW-HD1의 경우 일본어/한자가 그냥 삽입이 됩니다.(※일본판 기준입니다. 혹시나북미판은 어떨지 모릅니다.)
2.즉, 예전의 그런 삽질을 하지 마십시오.
3.깨지는 글자는 현재로서는 어쩔 수 없습니다. 한글 윈도에 없는 글자여서 발생하는듯 합니다. 아쉬우신 분은 일본 윈도우즈 설치를 권장해 드립니다.

====참고=사항====
1.충전시에 초기 15분은 충전을 하지 않고 감지를 한다고 합니다.
2.PC 연결을 해놓은 경우에는 일반 충전으로 6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3.PC 연결을 해놓은 경우에는 급속 충전으로 3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완방 상태 기준)
4.짜증나지만 전송후에 계속 PC 켜놓으실꺼면 USB 케이블만이라도 빼놓는게 좋으실 꺼 같습니다. 일단 PC 연결 상태에서는 계속 하드가 돌아갑니다. 열도 약간 나지요.
5.하이엠디용 3줄 리모컨이 호환이 됩니다.
6.북미판에는 리모컨이 부속되지 않습니다.
:






# N1,NW-MS9,NW-MS70D 용 패치를 포함했습니다.
# 도움말이 제대로 표시 안되는것을 수정했습니다.
#vb6ko.dll 파일을 포함했습니다. 실행 안될시 윈도 폴더 아래의 system 이나 system32로 옮겨주세요.
#소스 원하시면 요청해 주세요.
#더이상 지원되지 않는 프로그램입니디.(넷웍 팔았고, 최근 넷웍은 걍 지원 되니까.)


일본어나 한글을 쉽게 표시하고 싶으시면 이 프로그램을 사용해 보세요.
예전에 제가 제시하였던 방법은
-1.일단 오려붙이기등으로 텍스트 파일에 제목의 목록을 만들고,
-2.일본어 코드로 변환후
-3.다시 오려다 붙이기
로 엄청나게 복잡했지만,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시면 그냥 즉시 오렸다가 붙이기만 하시면됩니다.
오려다가 텍스트 파일에 붙이고 변환하는 과정이 생략됩니다.
즉, 오리는순간 오려진 내용이 일본어 코드(S-Jis)로 변환이 되어서
다시 클립보드에 들어가므로 그대로 붙이시면 되는것이지요.
당연히 한자/일본어/일부특수문자는 기본으로 S-Jis로 변환이 됩니다.

아! 당근 일본어 표시 패치는 그전에 해주셔야 합니다.

한글 또한 변환이 되는데 2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1. 발음대로 한->Han 식으로 변환
2. 비슷한 일본어로 풀어쓰기식으로 변환
의 방법이 있습니다.

아직 2가지 문제가 있는데,
1.풀어쓰기 ㅋㄷㅋㄷ ㅋㅋㅋ 같은건 변환이 안된다는것.
2.넷엠디의 경우 모두 전각문자로만 해야하는데 그부분이 지원이 안됨
의 2가지 문제입니다. 굳이 치자면 배타/시험판이기 때문에요.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모르시겠다면,
메모장에서 아무글이나 한자 일본어 등을 치시고,
그냥 모두선택후 Ctrl+C,Ctrl+V 를 눌러보시면 이해가 가실겁니다.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은 아래에 일본어/한문 입력법을 읽어보시면
좀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될런지는 모르겠군요.
:

Kinoma + MQV plug-in 입니다.
Non-Sony Palm에서 MQV를 돌릴 수 있습니다.

:




테크노 마트 6층에서 판다는 소형 감압기를 살려고 했었는데,
우연히 이 아답터를 발견하고는 1만원에 사서 개조해 봤습니다.
뭐 용산 가야 싸야 몇처넌 싸겠지~ 하고 말이죠.
그 감압기 파는집 옆집에서 샀는데, 선 바꾸어 준다고 해서
주인분 동생이 한다는 다른 전파사를(같은층) 찾았는데,
선을 따서 연결하려고 하더군요 -_- 열라게 말리고(이미 피복만 1mm 나간 상태 휴휴..)
테이프 붙여달라고 해서 보호 하고,
집으로 와서 칼로 커넥터부분(아답터에서 선 나오는부분에 고무 쪼가리 좀 붙어있는거)
다듬어서(구녕이 작더군요) 딱 맞게 하고, 납땜질 해서 붙였습니다.
케이블의 +,-는 오리지날 아답터의 본체에 써 있더군요.
(뜯어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내부 케이블 2가닥중 긴쪽이 +입니다.)
그리고 새 아답터의 +,-는 뜯었을때 회로에도 써 있습니다.
굉장히 작은 아답터여서 기분이 좋습니다.
프리볼트구요 ^^

문제는 원래 조디악은 1.1A 짜리 아답터인데, 제가 산건, 1.0A 짜리라는거죠 -_-
하지만 아답터 용량은 보통 다쓰면 열이 나니까 최대 용량의 70~80%정도만을 쓴다니까 상관 없을껍니다.
여태 오리지날도 열이 나진 않았고, 새로 개조에 보탠넘도 열은 안나는군요.

오리지날은 처참하게 부수어졌습니다.(곱게 뜯을 방법이 없습니다. ; ;)
새 녀석은 나사하나 풀면 이뿌게 뜯어집니다 ^^..

참고로 저녀석은 태영전자란 곳에서 만든겁니다.
박스에 SMPS라고 써 있고, 정전압,정전류기능과 Noise,Ripple의 특성이 우수한 제품이고 저중량이어서 좋다고 써 있네요 ^^..

여튼 만족 만족 만족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