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터에서 이렇답니다..
http://www.navinside.com/bbs/zboard.php?id=forum_anycall&no=5699

허헛.. 대단할 따름..
이모냥인게 이해가 갑니다..

처분 결정하기 잘한거 같습니다 ㄱ-;
:

http://www.nvidia.com/page/pg_20060207466624.html

하아... 스펙이 D1급 디코딩이 한계인 칩을 쓴거같은데..
이거 가속은 제대로 받고 있는건지..;;
- H.264 곰인코더로 비트레이트 팍팍 줄여놔도 엄청 끈기며 돌아가던데.
- MP3 320kbps 디코딩이 하드웨어 디코더로 가능하던데, 현재 320Kbps 재생시 오류로 뻣는 오디오 플레이어는 과연 가속기로 압축을 풀고 있는걸까?
- 하드웨어 SBC/MP3 인코더가 있는데 왜 블루투스를 키면 느려질까?
- 10MP (and lower) encode or decode using ISO/IEC 10918 Baseline : 찍은 JPEG 사진 보는것이나 저장 할때의 속도도 꽤나 느린 느낌
- MPEG4 encode or decode D1 resolution at 30fps : 동영상 촬영320x240 장난하는건가? -_-

여튼 체험단 진행중인 모 포럼의 분위기가 완전 제조사랑 살랑살랑한(?) 분위기인걸 보니까..
(포럼지기가 구매자 의견 삭제하면 말 다한거죠?)
역시 삼성 제품은 잘팔리지 않는한 구매후에 발전을 기대하는게 불가능해 보여서 판매할려고 내놓은상태... ^^;

ps:
생각해 보니까, 삼성 제품 사고 맘에 들었던게 정말 드물다.
아주 만든넘 산채로 땅에 묻어버리고(...오바해서;;) 싶었던 제품만 기억난다.
( Yepp D40,900 2모델 / 애니콜PC매니저 )
메모리만 쓸만한건가 =_=;
장인정신을 바라는건 아니지만, 상식을 바라는것도 무리인 제품이 많으니...

물론 PDA폰류는 맘에 드는쪽 ^^;

삼성도 오래 갈려면, 멀리 크게 좀 보고 제대로 된 제품 아이덴티티를 갖춰야 할텐데. ㅠ_ㅜ;
:

주밍 사운드 및 마지막 효과음이 제거된다.
더불어서 귀를 썩게하는 동영상 효과음(...)도 같이 제거 된다.

압축 해제뒤 APP 폴더를 액티브 싱크 루트에 덮어쓴다.
invalid-file

카메라 효과음 수정

:

중고로 이런 저런 사정(?)을 거쳐서 영입 했습니다.

알아낸 몇가지 팁들.

1. 판도라 TV
 1. KT 브라우저 실행(Opera 말구요)
 2. Internet Explorer로 보기로 해서 IE로 전환함.
 3. IE 옵션에서 PPC로 User Agent를 설정.(명칭이 기억이 안나네요 여튼 그 선택하는거 PPC로 하도록)
 4. http://wibro.pandora.tv/kt 에 접속
 5. 사용 하시면 됩니다. Media Player 뜨면서 UCC 쓸 수 있어요.
  꼭 Wibro 로 접속후에 쓰셔야 합니다. ActiveSync로는 안됩니다.(IP체크를 KT Wibro 망인지 하는거 같습니다.)
 * 안타깝게도 풀스크린이 안됩니다.
 * 판도라 TV 와이브로 버젼(?)은 WMV/ASX 기반입니다.

2. WinCE 뚫기
ActiveSync 상태에서 Wibrostore2에 보면 각종 실행파일 교체할만한 껀덕지들이 널려있다.
내 경우 Dic.exe를 처음엔 이전에 반든 MagicN 잠금 프로그램을 연결해서 런쳐로 쓰는;; 삽질을 하다가,
그냥 gsfinder로 교체해서 뚫었다.

3. 관리자 모드
뚫고 Windows 폴더의 시작메뉴쪽에 가보면 테스트 프로그램들의 바로가기들이 있다.
그중 관리자 모드 프로그램의 코드들이다.
- 관리자 프로그램 코드 3가지(각각 다른 모드입니다.)
  147*26903700505 (바탕화면으로 감)
  147*2690370 (하드웨어 테스트/완전 포맷 가능 : CONFIG까지 포맷하여 완전 맛 갔을때 포맷하면 좋아짐(?))
  0504 (간단 테스트)

내 생각엔 관리자 모드로 바로 가는 단축키를 숨겨놨을텐데, 이걸 찾는건 불가능할듯하다.

4. 복구 모드
Vol- 누른채로 리셋, 업그래이드 소프트에서 응급 모드로 복구 가능.

5. Wibro test 모드
Home 누른채로 리셋

6. 완벽 초기화 방법
리셋후에 와이브로 로고로 넘어가지 않는다면 일단 복구모드로 복구하면 1회는 부팅이 될 것이다. 이상태에서 리셋을 하면 와이브로 로고로 넘어가지 않는 경우가 발생했었다.
복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일단 복구모드로 응급복구를 해서 부팅을 한다. 그 상태에서 뒷구멍으로 나가서 관리자 프로그램을 들어간 뒤에 두번째의 코드로 CONFIG를 포맷해주니 리셋실패가 사라졌다.(CONFIG는 숨은 마운트이다.)

7. 숨은 폴더들
APP : PMP 폴더등이 숨어있는 마운트이다.
CONFIG : 설정들이 저장되는 마운트이다.
- 숨은 마운트 접근방법 : explorer(탐색기)를 실행후에 주소창 보기를 활성화 한 뒤에, 주소창에 \APP 나 \CONFIG를 입력한다.
- 숨은 마운트 파일 방법(쉽게) : 윈도우즈 탐색기에서 APP나 CONFIG 폴더를 만들어서 그 안에 파일을 위치시킨뒤 폴더를 통째로 덮으면 기록이 가능하다. (다만 사용중이어서 안덮어지는 파일이 많으므로 주의)

8. 원래의 스팩 코드네임(혹은 모델명)
원래의 이름은 G-ONE 이었나 보다..( 붙여쓰면 GONE 이다.. 가버린건가 역시 -_-)
더불어서 WiFi가 있었던 흔적이 있다. APP\Launcher\Config에서 WIFI를 비활성화하는 레지스트리를 업데이트하는 XML 항목이 있다.
어느분의 블로그에서 본 분해도의 빠진 SMD 자리가 무선랜이 아니었을까 싶다.)
( http://blog.naver.com/spc9999/498797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