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S/GBM] 여러 플래쉬 카드리지에 대한 정보들
PortableX/etc. 2006. 5. 10. 13:45 |예전에 나름대로 조사해놓은 플래쉬 카드리지 상세 내역입니다.
여기 저기에 올렸던걸 모아놨기 때문에, 좀 뒤죽박죽일수도 있습니다.
EZ4
+ 128Mbit PSRAM(DS 실시간 게임 버퍼겸 SRAM 으로 추정. GBA게임 고속 로딩은 128메가가 한계란 얘기가 되기도 함.)
+ 256Mbit Norflash(고속 읽기가 가능한 플래쉬 메모리이지만 기록이 시간 꽤 걸림 EZ3에서도 이것을 채용한 이유는 단지 GBA 256짜리 게임을 위해서였음)
+ 32Mbit SystemLoaer(EZ4 소프트 웨어(메뉴 등)를 저장하기 위한 플래쉬)
+ 8Mbit SRAM for saver(세이빙용 SRAM)
+ miniSD Slot(Supports upto 2GB miniSD)
=>거의 EZ3에서 NAND만 miniSD로 바꾼거나 다름없는 느낌입니다. 다만 큰 세이브가 가능하겠군요.
EZ3
+ NAND =>게임저장을 여기에 하는데 SD나 CF의 역할을 이놈이 한다고 보면 됩니다.
+ 128Mbit(16Mbyte) PSRAM
=>NAND에서 이쪽으로 로드후 게임을 실행 합니다.(즉, 슈카처럼 로딩이 있습니다.)슈카와 다른점인데, 이부분에 PSRAM을 써서 느려짐이 없습니다. 문제는 비싸서 인지 128Mbit밖에 안써서, 그 이상되는 용량의 게임은 사용 불가입니다.
+ 256Mbit(32Mbyte) NOR Flash
=> 256메가짜리 게임을 하기위해서 마련해 놨다고 합니다. 즉, 256 메가짜리 게임은 1개만 가능하다고 합니다.
+ 2Mbit SRAM => 세이브용입니다.(용량을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세이브를 일단 이곳에 하고, 배터리가 있으므로 다음에 껏다 킬때까지 보존이 됩니다. 다음번에 켰을경우 SRAM을 NAND로 복사(백업)하게 됩니다. 슈카는 배터리가 없기때문에 잽싸 껏다 켜야지만 저장이 가능합니다. 한참 있다가 하면 날아가 버리죠.
+ ??? =>자체 펌웨어가 분명히 있을텐데 어떤식으로 했는지 모르겠습니다.
M3
+psram ?
+sram ?
+NOR ? => 메뉴용
+SD Slot
G6 Flash
EZ3녀석과 구조가 비슷합니다만,이녀석은 NAND->NOR로 복사를 해서 실행을 한답니다.
그래서 구동할때는 EZ2보다 전력소모가 많고, 구동은 EZ3보다도 느리다고 합니다.
※G6도 버젼이 있어서 v3의 경우는 빠르다고 하네요.
EZ2(=그외 기타 플래쉬 카드리지들 F2A,XG2 ...)
+ NOR =>게임 저장을 여기에 합니다.
+ 2Mbit SRAM => 세이브용입니다.(용량을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배터리가 있으므로, EZ3와 마찬가지로 다음번에 켰을때 NOR로 백업하게 됩니다.
SuperCard
+SD/CF =>게임저장,별도구매,NAND라고 하는 느린 메모리입니다. 대신 쌉니다.
+256Mbit(32Mbyte) SDRAM
=>SD/CF에서 이쪽으로 로드후 게임 실행합니다.(할때 로딩하죠.) 원래 이 부분에 PSRAM을 써 주어야 하는데 매우 비쌉니다. 그래서 SDRAM을 쓰고, 변환을 해서, PSRAM처럼 동작하여 닌텐도를 속이는것입니다. 그래서 룜팩에 액세스가 많은 게임은 느려짐 현상이 생깁니다. 룜팩의 특성상 게임기 내부의 램은 얼마 없어서, 내부램에는 프로그램만 올리고 데이터(소리, 그림)등을 직접 룜팩에서 끌어다 쓰는데 그 끌어오는 속도가 느려서 느려짐 현상이 생기며 화면이 깨지기도 합니다. 참고로 정품 팩은 R0M인데, PSRAM은 R0M과 동작방법이 같습니다. 또, 다른 플래쉬 카드에서 쓰는 NOR Flash도 R0M과 동작 방법이 같습니다.(그래서 느려짐이 없습니다.)
+ 2Mbit SRAM =>세이브용입니다.
+ 4Mbit FLASH =>슈카 펌웨어 들어갑니다.
슈카의 느려짐 현상을 보고 싶으시다면, gbadev.org 에서 3D 엔진을 받아서 실행해 보시면 됩니다. 딴 플래쉬 카트는 멀쩡한데 이녀석만 느려지고 깜빡이고 난리를 핍니다 ㅠㅠ..
그런고로 압축은 NAND에서 딴데(NOR/RAM/PSRAM)로 복사해서 실행하는 카트리지만 지원이 됩니다.
GBA 총평(?)
아울러, 해외 리뷰들 보면(국내에 없어서 해외 해외 이러고 있습니다.. ㅠㅠ 죄송)
ez2 1기가를 무난한 닥터로 꼽고 있습니다.
F2A 보다 약간 느리고 전류 소모가 훨씬 적고,
XG2보다는 티 안날 만큼 전류 소모가 많은 정도이고 하지만 좀 더 안정적이고,
(백업 배터리 교환은 떔질 해야 할 수 있다는 단점은 있습니다)
EZ3 보다는 여러개의 256이상의 롬이나, 512,1기가짜리 롬을 넣을 수 있고
EZF 보다는 모든면에서 뛰어나고,
SP나 GBM이 나와서 커넥터가 호환이 안되는 시점에서 링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열심이 적고보니 짱깨 광고 해주고 있는거군요 ㄱㅡ)
***전력 소모에 대해서
EZ2의 경우는 구동 전압이 1.8V 이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적습니다.
백업 배터리의 전류소모는 거의 무시할만 하구요.
F2A 울트라는 구동 전압이 3.3V 입니다. 그리고 강제세이브의 경우 고사양 게임에선 느려지거나 다운 현상이 나므로 무조건 유용하다고 보기에도 좀 그렇습니다(편한건 맞습니다만..). 해외 포럼에서 전류 측정한거 보면, 실제로 小 XG2-EZ2-F2A 大 의 순입니다.(GBM 말고 구형 최초의 GBA에서 테스트 한겁니다. 그 모델 외에는 전류 측정 할려면 좀 방법이 필요 하니까 그런것 같습니다.)
또, XG2의 경우는 탈착형 배터리를 다느라고, 많이 작은 배터리가 들어가 버려서 F2A가 배터리 3년 정도라면, 이녀석은 1년정도밖에 안됩니다.
***용량 한계에 대해서.
EZ2 1기가 국내시장에나 적지 해외에서는 많이 팝니다.
ez3는 2기가짜리 까지 있지만, 256메가짜리롬을 1개밖에 못넣는 황당한 단점이 있구요. 1개 넣고 나면 나머지는 최대 128짜리밖에 못 넣습니다. 256메가짜리 1개 외의 것들은 로딩타임까지 있구요.
ez2 의 경우는 최대 1기가비트짜리 게임까지 지원이 가능하지만, NDS에서만 가능한 경우이구요.(GBA는 256이 한계)
기타 플래쉬 카트들의 리뷰는 이곳이 가장 종류가 많았다...
http://www.emu-zone.net/gba-sp/gba-flash-cards.htm
NDS 총평
현재는 M3와 슈카가 좋은 평을 받고 있습니다.
EZ4는 나온지 얼마 안되서 좋지 않은 평이지만 더 두고 봐야 겠지요.
슈카는 정말 가격:성능은 좋지만 GBA 지원이 문제인듯 합니다.
여기 저기에 올렸던걸 모아놨기 때문에, 좀 뒤죽박죽일수도 있습니다.
EZ4
+ 128Mbit PSRAM(DS 실시간 게임 버퍼겸 SRAM 으로 추정. GBA게임 고속 로딩은 128메가가 한계란 얘기가 되기도 함.)
+ 256Mbit Norflash(고속 읽기가 가능한 플래쉬 메모리이지만 기록이 시간 꽤 걸림 EZ3에서도 이것을 채용한 이유는 단지 GBA 256짜리 게임을 위해서였음)
+ 32Mbit SystemLoaer(EZ4 소프트 웨어(메뉴 등)를 저장하기 위한 플래쉬)
+ 8Mbit SRAM for saver(세이빙용 SRAM)
+ miniSD Slot(Supports upto 2GB miniSD)
=>거의 EZ3에서 NAND만 miniSD로 바꾼거나 다름없는 느낌입니다. 다만 큰 세이브가 가능하겠군요.
EZ3
+ NAND =>게임저장을 여기에 하는데 SD나 CF의 역할을 이놈이 한다고 보면 됩니다.
+ 128Mbit(16Mbyte) PSRAM
=>NAND에서 이쪽으로 로드후 게임을 실행 합니다.(즉, 슈카처럼 로딩이 있습니다.)슈카와 다른점인데, 이부분에 PSRAM을 써서 느려짐이 없습니다. 문제는 비싸서 인지 128Mbit밖에 안써서, 그 이상되는 용량의 게임은 사용 불가입니다.
+ 256Mbit(32Mbyte) NOR Flash
=> 256메가짜리 게임을 하기위해서 마련해 놨다고 합니다. 즉, 256 메가짜리 게임은 1개만 가능하다고 합니다.
+ 2Mbit SRAM => 세이브용입니다.(용량을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세이브를 일단 이곳에 하고, 배터리가 있으므로 다음에 껏다 킬때까지 보존이 됩니다. 다음번에 켰을경우 SRAM을 NAND로 복사(백업)하게 됩니다. 슈카는 배터리가 없기때문에 잽싸 껏다 켜야지만 저장이 가능합니다. 한참 있다가 하면 날아가 버리죠.
+ ??? =>자체 펌웨어가 분명히 있을텐데 어떤식으로 했는지 모르겠습니다.
M3
+psram ?
+sram ?
+NOR ? => 메뉴용
+SD Slot
G6 Flash
EZ3녀석과 구조가 비슷합니다만,이녀석은 NAND->NOR로 복사를 해서 실행을 한답니다.
그래서 구동할때는 EZ2보다 전력소모가 많고, 구동은 EZ3보다도 느리다고 합니다.
※G6도 버젼이 있어서 v3의 경우는 빠르다고 하네요.
EZ2(=그외 기타 플래쉬 카드리지들 F2A,XG2 ...)
+ NOR =>게임 저장을 여기에 합니다.
+ 2Mbit SRAM => 세이브용입니다.(용량을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배터리가 있으므로, EZ3와 마찬가지로 다음번에 켰을때 NOR로 백업하게 됩니다.
SuperCard
+SD/CF =>게임저장,별도구매,NAND라고 하는 느린 메모리입니다. 대신 쌉니다.
+256Mbit(32Mbyte) SDRAM
=>SD/CF에서 이쪽으로 로드후 게임 실행합니다.(할때 로딩하죠.) 원래 이 부분에 PSRAM을 써 주어야 하는데 매우 비쌉니다. 그래서 SDRAM을 쓰고, 변환을 해서, PSRAM처럼 동작하여 닌텐도를 속이는것입니다. 그래서 룜팩에 액세스가 많은 게임은 느려짐 현상이 생깁니다. 룜팩의 특성상 게임기 내부의 램은 얼마 없어서, 내부램에는 프로그램만 올리고 데이터(소리, 그림)등을 직접 룜팩에서 끌어다 쓰는데 그 끌어오는 속도가 느려서 느려짐 현상이 생기며 화면이 깨지기도 합니다. 참고로 정품 팩은 R0M인데, PSRAM은 R0M과 동작방법이 같습니다. 또, 다른 플래쉬 카드에서 쓰는 NOR Flash도 R0M과 동작 방법이 같습니다.(그래서 느려짐이 없습니다.)
+ 2Mbit SRAM =>세이브용입니다.
+ 4Mbit FLASH =>슈카 펌웨어 들어갑니다.
슈카의 느려짐 현상을 보고 싶으시다면, gbadev.org 에서 3D 엔진을 받아서 실행해 보시면 됩니다. 딴 플래쉬 카트는 멀쩡한데 이녀석만 느려지고 깜빡이고 난리를 핍니다 ㅠㅠ..
그런고로 압축은 NAND에서 딴데(NOR/RAM/PSRAM)로 복사해서 실행하는 카트리지만 지원이 됩니다.
GBA 총평(?)
아울러, 해외 리뷰들 보면(국내에 없어서 해외 해외 이러고 있습니다.. ㅠㅠ 죄송)
ez2 1기가를 무난한 닥터로 꼽고 있습니다.
F2A 보다 약간 느리고 전류 소모가 훨씬 적고,
XG2보다는 티 안날 만큼 전류 소모가 많은 정도이고 하지만 좀 더 안정적이고,
(백업 배터리 교환은 떔질 해야 할 수 있다는 단점은 있습니다)
EZ3 보다는 여러개의 256이상의 롬이나, 512,1기가짜리 롬을 넣을 수 있고
EZF 보다는 모든면에서 뛰어나고,
SP나 GBM이 나와서 커넥터가 호환이 안되는 시점에서 링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열심이 적고보니 짱깨 광고 해주고 있는거군요 ㄱㅡ)
***전력 소모에 대해서
EZ2의 경우는 구동 전압이 1.8V 이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적습니다.
백업 배터리의 전류소모는 거의 무시할만 하구요.
F2A 울트라는 구동 전압이 3.3V 입니다. 그리고 강제세이브의 경우 고사양 게임에선 느려지거나 다운 현상이 나므로 무조건 유용하다고 보기에도 좀 그렇습니다(편한건 맞습니다만..). 해외 포럼에서 전류 측정한거 보면, 실제로 小 XG2-EZ2-F2A 大 의 순입니다.(GBM 말고 구형 최초의 GBA에서 테스트 한겁니다. 그 모델 외에는 전류 측정 할려면 좀 방법이 필요 하니까 그런것 같습니다.)
또, XG2의 경우는 탈착형 배터리를 다느라고, 많이 작은 배터리가 들어가 버려서 F2A가 배터리 3년 정도라면, 이녀석은 1년정도밖에 안됩니다.
***용량 한계에 대해서.
EZ2 1기가 국내시장에나 적지 해외에서는 많이 팝니다.
ez3는 2기가짜리 까지 있지만, 256메가짜리롬을 1개밖에 못넣는 황당한 단점이 있구요. 1개 넣고 나면 나머지는 최대 128짜리밖에 못 넣습니다. 256메가짜리 1개 외의 것들은 로딩타임까지 있구요.
ez2 의 경우는 최대 1기가비트짜리 게임까지 지원이 가능하지만, NDS에서만 가능한 경우이구요.(GBA는 256이 한계)
기타 플래쉬 카트들의 리뷰는 이곳이 가장 종류가 많았다...
http://www.emu-zone.net/gba-sp/gba-flash-cards.htm
NDS 총평
현재는 M3와 슈카가 좋은 평을 받고 있습니다.
EZ4는 나온지 얼마 안되서 좋지 않은 평이지만 더 두고 봐야 겠지요.
슈카는 정말 가격:성능은 좋지만 GBA 지원이 문제인듯 합니다.